사용자 도구
관리
로그인
추적: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한글 설정 ====== 우분투 데스크탑 버전의 경우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한글 설정이 되지만 서버 버전은 그렇지 않다. [[http://ko.wikipedia.org/wiki/EUC-KR|EUC_KR]]과 [[http://ko.wikipedia.org/wiki/Utf-8|UTF-8]] 둘 중 하나를 골라 설정하면 된다. 대세는 UTF-8 이므로 UTF-8로 설정할 것을 권장한다. ===== 로케일 설정 ===== <code> $ sudo locale-gen ko_KR.EUC-KR // EUC_KR 설정 $ sudo locale-gen ko_KR.UTF-8 // UTF-8 설정 </code> language-pack-ko와 language-pack-ko-base는 x-window 이용할 때에 설치한다. 서버 버전의 경우 설치할 필요 없다. ===== 환경 변수 설정 ===== /etc/default/locale, /etc/environment 에 환경 변수 값을 직접 세팅하여도 되지만 개인 .profile 에 언어 환경 변수를 추가하는 것을 권장한다. **.profile 편집** <code> $ vim ~/.profile </code> **다음 줄 추가** <code> export LANG=ko_KR.UTF-8 // UTF-8 설정 export LANG=ko_KR.EUC_KR // EUC_KR 설정 </code> **저장한 환경 설정 load** <code> $ source ~/.profile </code> ===== 파일 인코딩 변경 ===== EUC-KR -> UTF-8 파일 인코딩 변경 <code> $ iconv -c -f euc-kr -t utf-8 euckr.txt > utf8.txt </code> 파일명이 EUC-KR인 경우 convmv를 이용해서 파일명을 변경 <code> $ convmv -f euc-kr -t utf-8 --notest 한글.txt </code> ===== 콘솔 ===== 콘솔에서는 UTF-8을 지원하지 않아 한글 출력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출력메시지를 영문으로 바꾸는 방법밖에 없다. <code> $ export LANG=C </code> 이렇게 하면 현재 로그인한 상태에서만 적용된다. 로그인할 때마다 바꾸게 하려면 ~/.bashrc 파일에 위의 내용을 추가해준다. ===== 링크 ===== [[http://ubuntu.or.kr/viewtopic.php?p=72270|Ubuntu server 설치 후 한글 설정]]\\ [[https://help.ubuntu.com/community/Locale|Locale - Ubuntu Help]]\\ [[http://wyseburn.tistory.com/230|리눅스 파일 인코딩 변경(iconv)]]\\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PDF로 내보내기
맨 위로
PDF Export
내용으로 건너뛰기
OBG WiKi
사이트 도구
검색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