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관리
로그인
추적: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우분투 ====== 우분투(Ubuntu)는 데비안 GNU/리눅스(Debian GNU/Linux)에 기초한 컴퓨터 운영 체제라 한다. 영국에 기반을 둔 회사인 캐노니컬의 지원을 받는다고... 우분투는 반투어로 "네가 있으니 내가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인기가 가장 많은 리눅스 배포판이나 요즘엔 우분투 기반의 민트가 대세. ===== root 권한 비밀번호 ===== 우분투 리눅스는 설치 과정에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설치 후 터미널에서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다음 명령으로 설정해야 한다. <code bash> $ sudo passwd root </code> ===== 백업 및 복구 ===== ==== 백업 ==== - 루트 권한 획득(su), 루트로 이동\\ - 다음 명령 실행\\ <code bash> $ tar cvpzf backup.tgz --exclude=/proc --exclude=/lost+found --exclude=/media --exclude=/mnt --exclude=/sys / --exclude=/dev --exclude=/backup.tgz </code> * backuptgz.tgz 파일로 저장\\ * /proc, /lost+found, /media, /backup.tgz, /mnt, /sys, /dev 폴더 제외\\ * /sys, /dev 폴더는 가상 폴더이다\\ ==== 복구 ==== - 루트 권한 획득(su), 루트로 이동\\ - 다음 명령 실행\\ <code bash> $ tar xvpfz backup.tgz -C / </code> 백업에서 제외했던 폴더는 mkdir 명령어로 만들어줄 것 ==== 출처 ==== * 1차 출처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81311 (2005년 글)\\ * 2차 출처 : http://kldp.org/node/84594 (2007년 글)\\ * 3차 출처 : http://vaslor.net/tech/linux_backup#.ULv6m7Tx7nY\\ * 4차 출처 : http://hongken.tistory.com/37\\ 3차 출처에는 하드 복사, 데이터만 백업, 특정 폴더 백업, MySQL 백업 내용이 있으니 참고 또다른 글 \\ [[http://circleses.tistory.com/19|리눅스(우분투) 백업, 복구하기 (tar 명령어 이용)]] 쉘스크립트를 이용하면 훨씬 더 쉽게 백업, 복구가 가능하다. * https://help.ubuntu.com/lts/serverguide/backup-shellscripts.html * http://ubuntuforums.org/showthread.php?t=2128108 ===== 업그레이드 ===== 터미널에서는 간단히 아래의 명령으로 업그레이드 가능하다. <code bash> $ sudo do-release-upgrade </code> **참고**\\ * http://linuxg.net/update-from-ubuntu-12-10-to-ubuntu-13-04-by-terminal/ ===== 문제 해결 ===== ==== 우분투 14.04 한영키 문제 ==== 우분투 14.04 버전에서는 기본 입력기인 iBus로는 시스템 설정의 텍스트 입력창에서 한영키로 한영전환 설정을 할 수 없다. 이 문제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http://www.ubuntu-kr.org/viewtopic.php?p=119930)) * 먼저, [시스템 설정] > [텍스트 입력창] > [사용할 입력 소스:] > [+] 버튼을 클릭하여 [한국어 (Hangul)] 입력 소스를 추가하고, 아래와 같이 dconf-editor에서 한/영 키를 등록한다. <code bash> $ sudo apt-get install dconf-editor $ dconf-editor </code> * dconf-editor 실행 후, 왼쪽 트리 메뉴에서 org > gnome > desktop > wm > keybindings 선택 후 switch-input-source 항목이 ['<Control>space']로 되어 있는 것을 ['Hangul'] 로 바꾼다. dconf-editor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설정이 바뀌지 않으므로 주의한다.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 ==== 우분투 14.10 한영키 문제 ==== 14.10에서는 한글 입력기 동작 방식이 바뀌었다. 14.10 언어를 한국어로 하여 설치하면 바로 문제가 해결된다. 유니티 상단의 입력기를 보면 태극마크 하나만 있는 것이 보이나 한/영키를 누를 때마다 한글 상태 부분의 체크 박스가 생겼다 안생겼다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14.10 영문 버전에서는 System Settings - Text Input Methods에서 Input source의 + 버튼을 클릭 후 Korean(Hangul)를 선택하면 된다. (기존의 korean은 한글 입력이 되지 않는다.) ==== Network service discovery disabled 메시지 ==== 우분투 서버에서는 별 문제가 없으나 GUI 환경에서는 로그인할 때마다 이 메시지가 뜰 것이다. 다음 파일을 열어 수정하면 된다. <code bash> $ sudo gedit /etc/default/avahi-daemon </code> AVAHI_DAEMON_DETECT_LOCAL의 값을 0으로 변경한다. ==== 부분적인 화면 깜빡임 문제 (Nvidia) ==== Compiz 버그이다.((https://bugs.launchpad.net/ubuntu/+source/xorg/+bug/1314367)) [[https://apps.ubuntu.com/cat/applications/compizconfig-settings-manager/|CompizConfig Settings Manager]] 설치 후 Workaround(예비 수단) 선택 후 Force full screen redraws (buffer swap) on repaint를 체크한다. Force synchronization between X and GLX를 체크하여 해결했다는 덧글도 있으나 해결되진 않는듯. ===== 관련 항목 ===== * [[linux:apt-get|apt-get]] * [[linux:dpkg|dpkg]] * [[linux:korean|한글 설정]] * [[linux:network|네트워크 설정]] * [[linux:ubuntu:security|우분투 보안]] * [[linux:log|리눅스 로그]] * [[linux:ubuntu:partition|우분투 파티션]] * [[linux:ubuntu:firewall|우분투 방화벽]] * [[linux:ubuntu:graphic_card|우분투 그래픽카드]] * [[linux:ubuntu:config|우분투 주요 설정 파일]] * [[linux:ubuntu:customize|우분투 customize]] * [[linux:ubuntu:service|우분투 서비스]] ===== 링크 ===== * [[http://help.ubuntu.com|Official Ubuntu Documentation]]\\ * [[http://ubuntuguide.org/wiki/Ubuntuguide|Ubuntu Guide]]\\ * [[http://www.ubuntu.or.kr/|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 [[http://askubuntu.com/|ask Ubuntu]]\\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PDF로 내보내기
맨 위로
PDF Export
내용으로 건너뛰기
OBG WiKi
사이트 도구
검색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