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관리
로그인
추적:
이 문서는 읽기 전용입니다. 원본을 볼 수는 있지만 바꿀 수는 없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우분투 파티션 ====== 우분투 파티션 설정 방법에 대한 정리... 하려 했으나 리눅스 파티션에 대한 내용이 되어버림. 배포판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다. ===== 리눅스 파티션 최소 단위 ===== ==== 네이티브 파티션(native partition) ==== 리눅스가 실제로 설치되는 파티션. 하드디스크 파티션 중 프라이머리 파티션이 될 수 있으며 논리 파티션도 해당될 수 있다. ==== 스왑 파티션 (swap partition) ==== 리눅스에서 가상 램으로 사용할 하드 디스크 공간.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램에 2배수 지정. ===== 파티션 정보 ===== *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정보는 MBR(Master Boot Record) 섹터에 저장 됨. * 첫번째 섹터이며, 바이오스에 의해 인식되는 시작 섹터이다. * 부팅정보는 MBR에 위치한다. 심심찮은 문제점으로, 윈도우를 설치하면 MBR의 리눅스 부팅정보를 지워서, 리눅스를 부팅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게 멀티 부팅이 가능한 부트로더의 부재로 인한 것이다. (부트로더는 요새 컴퓨터에서 다 지원하므로 걱정을 가질 필요가 없다) 리눅스에서는 두개의 부트로더를 지원. - GRUB - LILO 페도라에서는 GRUB만 지원하고, GRUB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 ===== 하드 디스크 파티션 분류 ===== - 프라이머리 파티션 (primary partition) - 확장 파티션 (Extended partition) - 논리 파티션 (logical partition) 리눅스 내장 파티션 도구인 fdisk에서는 기본적으로 프라이머리와 확장 파티션만 나눌 수 있다. * **프라이머리 파티션**은 원자값으로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파티션이다. * **확장 파티션**은 논리 파티션으로 더 쪼갤 수 있는 파티션이다. 한 개의 하드디스크에서는 최대 4개의 프라이머리 파티션으로 나뉘어진다. 더 나눌 경우, 프라이머리 파티션을 3개로 하나는 확장 파티션으로 두어야 한다. 이 하나의 확장 파티션은 최대 12개의 논리 파티션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결국, 하나의 하드디스크에서 최대 프라이머리 파티션 3개, 확장 파티션 1개, 논리파티션 12개로 16개의 파티션을 가질 수 있다. 리눅스에서는 앞서 말 한것처럼 최소 두개의 파티션이 요구 된다. - 네이티브 파티션 (이하 네이티브) - 스왑 파티션 (이하 스왑) 각각 단어의 정의는 생략. 각 파티션은 프라이머리나 논리 파티션에 다 적응된다. 중요한 것은 각각이 존재하도록 파티션을 나누어야 하는 것이다. * Practice 1.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리눅스만 설치할 경우 ^ primary 1 | 네이티브 또는 스왑 | ^ Extended 1 logical 1 | 네이티브 또는 스왑 | * Practice 2 .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윈도우와 리눅스 설치할 경우 ^ primary 1 | 윈도우 | ^ primary 2 | 리눅스 | ^ primary 3 | 스왑 | * Practice 3. 프라이머리 파티션 세개로 나누어 윈도우와 리눅스 설치 ^ primary 1 | 윈도우 | ^ primary 2 | 네이티브 | ^ primary 3 | 네이티브 | ^ extended logical 1\\ logical 2| 네이티브 | ^ ::: | 스왑 | ===== 하드디스크 장치명 ===== (E)IDE 컨트롤러에 연결된 하드 디스크의 순서에 따라서 /dev/hd라는 명칭을 가지며 이후 알파벳 순서대로 붙게 된다. 단, SCIC또는SATA의 경우는 sd가 붙게 된다. (요샌 IDE든지 SATA든지 sd로 통일) * 프라이머리 마스터에 붙은 것을 /dev/sda라고 부름. * 프라이머리 슬레이브에 붙은 것은 /dev/sdb라고 붊. * 세컨더리 마스터는 /dev/sdc * 세컨더리 슬레이브는 /dev/sdd 로 최대 4개를 가진다. 이후 이 한 디스크의 파티션을 쪼개면 (최대 4) /dev/hda1 /dev/sda2 씩으로 붙는다. 이렇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최대 16개로 쪼갤 수 있으므로, /dev/sda16 까지 붙게 된다. 플로피디스크는 A드라이브의 경우, /dev/fd0 B드라이브의 경우, /dev/fd1을 사용. CD-ROM은 같은 IDE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만약 세컨더리 마스터의 연결되어 있으면, /dev/sdc의명칭을 같는다. 어떨 경우에는 /dev/sr0 , /dev/dr1과 같은 스카시 형태를 따른다. 리눅스 파티션 분할의 이점 * 서버용도로 사용할 경우, 파티션을 여러개로 나누면, 시스템 처리 속도 및 보안 차운엣 이득을 본다. * 파일 시스템 검사를 줄여서 부팅속도가 빨라진다. ===== 파티션 분할의 이점을 갖는 디렉터리들 ===== ==== / ==== * 루트 디렉토리로 최상위 디렉토리 * 바이너리 디렉터리 /bin /sbin , 시스템 및 네트웍 설정 파일 디렉토리 /etc, 임시저장 디렉터리 /tmp 등 비교적 작은 파일들이 있는 디렉토리 포함 * 만약 모든 디렉토리를 포함한 단일 디렉토리화 한다면, 스왑 파티션에 사용한 용량을 제외한 모든 나머지 용량을 할당해야 한다. ==== /boot ==== * 커널 부트 이미지 파티션 * 부팅 가능한 커널 이미지 파일과 GRUB을 담고 있다. 80M가 적당한다. * 루트 파티션에 포함해도 좋다. ==== /home ==== * 사용자 계정 파티션 * 시스템 내 사용자를 고려하여 용량 분배 * 웹 호스팅 같은 계정 서비스를 하면, 많은 용량을 분배해야함. * 일반 계정 사용자의 경우, 루트 파티션에 포함해도 좋음. ==== /usr ==== * 대부분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파티션 * 시스템에 필요한 바이너리, 라이브러리 파일과 커널소스, X윈도우 파일들이 설치되는 파티션으로 대게 3.5 ~ 5 G 용량을 가진다. * DBMS가 이 파티션에 위치하면 DM 용량을 고려하여 분배. ==== /usr/local ==== * /usr 하위 디렉토리로 /usr과 같은 용도이며, 가변적이다. * 이 안에 DBMS를 설치한다면, /usr과 파티션을 분할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 ==== /var ==== * 로그 파일 파티션 * 주로 로그 파일이 기록 * 아파치 웹 서버의 기본 디렉토리 * 메일 서버에서 수신된 메일들의 저장소 * 크게 설정해 주는 것이 좋다. 다만 개인 데스크탑으로 운용하는 경우는, 적게 잡거나 루트 디렉토리에 포함. ==== /data ==== * 사용자 정의 파티션 * 사용자 임의로 사용한다. ===== 파티션 분할 전략 ===== ==== base ==== ^ / | 1.5GB 이상 | ^ /boot | 80MB | ^ /home | 남은용량 (/data 파티션과 안배) | ^ /usr | 최소 3.5GB | ^ /var | 최소 2.0GB | ^ /data | 남은용량 | ^ swap | 256M ~ 1GB | ==== 320G 서버용 ==== ^ / | 2.0GB | ^ /boot | 100MB | ^ /home | 100GB | ^ /usr | 5GB | ^ /usr/local | 10GB (/usr과 통합해도 무관) | ^ /var | 50G | ^ Swap | 2G (1G 기준) | ^ /data | 남은용량 모두 (home에 대용량을 둘 경우, 생략) | 위와 같이 디스크를 나누는 프로그램으로는 * Disk Druid (GUI용) * fdisk(페도라 설치과정 중에 ctrl+alt + F2 ) ===== 참고 ===== * [[http://blog.naver.com/ljhjjang0125/110149255202|[페도라]리눅스 파티션에 대한 이해]] * [[http://blog.naver.com/shw20319/20128378991|리눅스 파티션(partition)을 나눠보자]] * [[http://blog.naver.com/1jongrak?Redirect=Log&logNo=50125071431|우분투 파티션 설정방법]]
문서 도구
문서 보기
이전 판
역링크
PDF로 내보내기
맨 위로
PDF Export
내용으로 건너뛰기
OBG WiKi
사이트 도구
검색
최근 바뀜
미디어 관리자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