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Network Theory

‘복잡계 네트워크 과학’ 이라는 책 내용을 정리. 최대한 수식은 제외한다.

1. 좁은 세상

1.1 밀그램의 좁은세상 실험

편지가 몇 사람을 거쳐 특정인에게 도착하는가? → 30%의 편지 도착, 평균 5.2단계 거침

1.2 한국에서의 좁은세상 실험

위 실험과 비슷하나 여러 통신방법 사용 → 목표 인물에게 도착된 연결은 15.7% (한국인들은 바빠서)
평균 4.6단계 거침

1.3 좁은세상이 왜 만들어질까

가장 간단한 원인은 한사람이 얼마나 많은 사람을 알고 지내는가와 관련.
솔라 풀의 연구에 따르면 3000~5000명

1.4 좁은세상 네트워크에 대한 스케치

Erodos와 Reny(ER)의 무작위 네트워크 소개

Watts와 Strogatz(WS)는 1998년 영화배우 네트워크, 선충의 신경만, 전력망을 연구

이후 월드와이드 웹의 구조(웹페이지간의 연결)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됨

네트워크는 사회학 뿐 아니라 생물학, 경제학, 컴퓨터공학 등에도 유용하게 쓰임

복잡계 네트워크 연구 분야는 구조적 특성 연구, 네트워크 위에서 일어나는 동역학 현상 연구, 네트워크 구조의 진화현상 연구로 구분 가능
모듈, 프랙탈네트워크, 보편성, 데이터 전송, 진화 현상등의 연구

2. 네트워크 분석

2.1 네트워크의 종류

2.2 네트워크 구조 용어

3. 무작위 네트워크

4. 좁은세상 네트워크

5. 척도 없는 네트워크

도수의 분포가 멱함수를 따른다

5.1 월드 와이드 웹

5.2 인터넷

5.3 영화배우 네트워크

5.4 논문 인용 네트워크

5.5 신진대사 반응 네트워크

5.6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

6. 척도 없는 네트워크 모형

6.1 바라바시-알버트(BA) 모형

6.2 적합성 모형

6.3 후버만-아다미치 모형

6.4 스태틱 모형

6.5 Configuration 모형

6.6 적응 모형

6.7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 모형

6.8 사회네트워크에 대한 모형

7. 척도 없는 네트워크의 Ultrasmall 성질

8. 복잡계 네트워크에서 스핀 모형의 상전이 현상

8.1 평형 앙상블

8.2 Potts 모형

8.3 분배함수

8.4 Static 모형을 이용한 Potts 모형 상전이 현상

8.5 Helmholtz 자유에너지

9. 스미기 전이

10. 복잡계 네트워크의 견고성 및 연쇄적 파멸 현상

10.1 복잡계 네트워크의 견고성

10.2 연쇄적 파멸 현상

10.3 모래사태 모형

11. 복잡계 네트워크에서의 수송 현상

인터넷에서의 패킷 전달, 세포 내의 신호 전달, 사람들 사이의 정보 전달 등

11.1 최단 경로 수송과 부하

의도된 수송 → 일반적으로 최단 경로 수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