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Analytics는 구글이 제공하는 웹 트래픽 분석 도구이다. Urchin을 2005년 4월에 인수한 후 2005년 11월에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Google Analytics의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dimension과 metric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표를 보자.
측정기준 | 측정항목 | 측정항목 |
---|---|---|
도시 | 세션수 | 세션당 페이지 수 |
샌프란시스코 | 5,000 | 3.74 |
베를린 | 4,000 | 4.55 |
위에서 dimension은 도시이고 metric은 세션수, 세션당 페이지 수이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dimension, metric이 아닌 내가 원하는 항목을 만들고 싶으면 custom dimensions, metrics를 설정하면 된다. 이는 Admin 페이지의 Custom Definitions에서 할 수 있다. Custom Definitions을 설정하고 나서 관련 코드를 삽입하면 동작하게 된다.
정리된 내용은 아래 문서에서 확인한다.
다음과 같이 category, action, label 값을 지정하여 이벤트를 등록하고 추적할 수 있다.
ga('send', 'event', 'button', 'click', 'home');
위와 같이 하면 button 카테고리의 click 액션, home 레이블로 이벤트를 추적한다. 이를 버튼 클릭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부분에 추가하면 된다.
세그먼트는 그룹를 떠올리면 된다. 예를 들어 방문자 중 55 ~ 64세의 여성인 그룹, 4월 1일 처음 방문한 그룹 등으로 나누어 결과를 볼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것이 세그먼트이다. 관리 페이지에서 세그먼트를 클릭하면 원하는 세그먼트를 추가할 수 있다.
Google Analytics는 쿠키를 사용하며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이용하여 트래킹 코드를 전달하는 특성으로 인해 정확도와 관련한 이슈가 몇 있다. 데이터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 페이지를 참고한다.
다음 페이지를 참고한다.
GAIQ certification 이라는 온라인 자격인증 시험도 있다. 다음 사이트에서 응시할 수 있다.
이를 강의해 주는 사이트도 있다.
개발자들이 선호는 Analytics 툴 리스트는 다음 사이트를 참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