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의 디스크 관리 명령에 대해 정리한다.
하드 디스크를 구입 후 리눅스에 마운트 시키려면 아래와 같이 작업한다.
$ fdisk -l
일반 SATA 하드라면 dev/sd?? 형식으로 보일 것이다.
만약 추가된 하드가 /dev/sdb로 잡혔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 fdisk /dev/sdb
그러면 쉘이 Command (m for help) : 로 바뀔 것이다.
Command (m for help) : p
처음 산 하드라면 파티션이 없을 것이므로 아무것도 안뜰 것이다.
Command (m for help) : n // 파티션 추가 명령 Command action e extended p primary partition (1-4) : p // 주 파티션 만들지 확장 파티션 만들지 선택 Partition number (1-4): 1 // 첫 번째 하드라면 1 First sector : // 섹터 시작 위치 (참고로 2011년 하드부터 섹터 하나 크기는 4KB라는데 난 512바이트인듯?) Last sector : // 섹터 마지막 위치
Command (m for help) : p
위에서 작업한 결과가 출력될 것이다
Command (m for help): w
$ mkfs.ext3 /dev/sdb1 // /dev/sdb1 파티션을 ext3로 포맷. 마찬가지로 mkfs.ext4는 ext4로 포맷
생성한 파티션마다 해주면 된다.
$ mkdir /data // /data 폴더 생성 $ mount -t ext3 /dev/sdb1 /data // /dev/sdb1/을 /data에 마운트
$ df -T
리눅스 부팅할 때마다 자동으로 마운트시키려면 /etc/fstab을 이용한다. 여기 참고
주의 : 옵션 중 default라고 되어 있는 건 오타이다. defaults 이니 조심! (default라고 하면 마운팅 에러)
우분투의 경우 디폴트로 장치를 UUID로 설정하는 것 같다. /dev/sdb1 형식으로 사용해도 상관은 없겠지만 혹시 모르니 알아두자. UUID는 다음과 같이 알 수 있다.
$ ls -l /dev/disk/by-uuid
/etc/hdparm.conf
파일을 연 후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한다.
/dev/sdb { spindown_time = 120 } /dev/sdc { spindown_time = 120 }
값을 120으로 설정하면 120 * 5 = 600초 = 10분
동안 HDD가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 절전 모드로 들어간다. 252 ~ 255의 값은 다음과 같은 값으로 정의되어 있어 사용하면 안된다.
252 | 21분 |
---|---|
253 | 하드디스크 제조회사에서 설정한 8~12시간 |
254 | reserved |
255 | 21분 15초 |
OS가 설치된 하드디스크는 절전모드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잦은 절전기능 사용은 하드 디스크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한다.1)
리눅스는 소프트웨어 RAID를 지원한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방식의 RAID는 불안정하기 때문에 구성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특히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인 RAID 1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RAID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하드웨어 RAID를 구성하는 것을 추천.
꼭 해야겠다면 다음의 사이트를 참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