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도구


파일 관리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쓰게 되는 명령어이다.

폴더 덮어쓰기

mv만 가지고는 안되는 것 같다. rsync 명령어와 병행한다.

$ rsync -a <origin> <destination>
$ rm -rf <origin>

폴더 이동

cd를 이용한다.

$ cd ..    // 상위 폴더로 이동
$ cd /etc  // /etc 폴더로 이동
$ cd ~     // 현재 유저의 home 디렉토리로 이동

파일 목록 보기

ls를 이용한다.

$ ls

파일의 권한까지 확인하려면 -l 옵션을 이용한다.

root@OBG-Srv:/var# ls -l
합계 52
drwxr-xr-x  2 root root     4096  3월  3 07:57 backups
drwxr-xr-x 20 root root     4096  2월 25 21:07 cache
drwxrwsrwt  2 root whoopsie 4096  2월 27 07:35 crash
drwxr-xr-x  2 root root     4096  1월 24 00:31 games
drwxr-xr-x 76 root root     4096  3월  2 12:03 lib
drwxrwsr-x  2 root staff    4096 10월 10 00:03 local
lrwxrwxrwx  1 root root        9  3월  2 12:05 lock -> /run/lock
... 생략 ...

파일 검색

특정 명령어의 위치를 찾으려면 whereis를 이용한다.1)

root@OBG-Srv:~# whereis ls
ls: /bin/ls /usr/share/man/man1/ls.1.gz

파일이나 폴더를 찾으려면 find를 이용한다.2)

$ find -name 'ajaxplorer'     // 현재 폴더 아래에서 ajaxplorer란 이름을 가진 폴더나 파일을 찾는다.

파일 내용을 검색하려면 grep을 이용한다.

grep -e man /home/ -R     // /home 폴더 아래에서 man이라는 내용이 들어간 파일 검색

폴더별 용량 확인

du를 이용한다.

du -h --max-depth=1

-h : M, G 등의 단위로 용량 표시 –max-depth=1 : 하위 폴더 깊이 1

권한 설정

chmod를 이용한다.

chmod 755 /var/www/     // /var/www/ 폴더의 권한을 755로 설정 
chmod 755 -R /var/www/     // 하위 폴더까지 권한을 755로 설정

심볼릭 링크

다음 명령은 현재 디렉토리에 dataLink라는 심볼릭링크를 만들고 이를 /data 폴더와 연결한다.

ln -s /data dataLink

확인은 다음과 같이 한다.

ls -l

삭제는 파일 삭제와 같은 방법으로 한다.

rm dataLink

압축

보통 tar.gz를 많이 쓴다. 이는 tar와 gz의 혼합 형태로 tar은 파일들을 묶고 gz는 파일을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3)

tar.gz 압축하기

$ tar cvf filename.tar file1...    //file1의 폴더나 파일을 filename.tar로 묶는다 (압축아님)
$ gzip filename.tar                //filename.tar을 filename.tar.gz로 압축한다 (이땐 압축)

다음과 같이 z 옵션을 붙여 한번에 압축하는 방법도 있다. (이게 더 편하다)

$ tar cvzf filename.tar.gz file1...     //file1의 폴더나 파일을 filename.tar.gz로 묶고 압축한다.

tar.gz 압축풀기

$ gunzip filename.tar.gz    // tar.gz에서 gz를 푼다.
$ tar xvf filename.tar      // tar를 푼다.  ( x: 압축풀기 , v: 압축푸는 상태를 본다, f: 파일이름 )

다음과 같이 z 옵션을 붙여 한번에 푸는 방법도 있다. (역시 이게 더 편하다)

$ tar xvzf filename.tar.g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