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버전 관리 시스템 중 하나
$ sudo apt-get install subversion
원하는 위치에 repository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repository 디렉토리는 모든 소스들이 svn에 저장될 위치이다.
$ mkdir /home/vfinger/svn
여기에 프로젝트 별로 개별 저장소를 만들 수 있다.
$ svnadmin create --fs-type fsfs /home/vfinger/svn/sample
$ vim /home/vfinger/svn/sample/conf/svnserve.conf
[general] 섹션에 다음을 입력한다.
password-db = passwd
이제 접속 가능한 유저를 설정하는 부분이다.
$ vim /home/vfinger/svn/sample/conf/passwd
username = passwd 사용자이름 = 패스워드
사용자 이름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된다.
ex)
vfinger = 12345
SVN 접속 방식은 SVN 서버를 통해 접근하는 것으로 서버를 실행 시켜야한다.
$ svnserve -d -r /home/vfinger/svn
서버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 netstat -na | grep 3690
3690은 SVN의 기본 포트 번호이다.
이제 기본으로 사용하는 trunk, branches, tags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 svn mkdir svn://localhost/sample/trunk --username vfinger $ svn mkdir svn://localhost/sample/branches --username vfinger $ svn mkdir svn://localhost/sample/tags --username vfinger
각각의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코멘트를 입력하게 하는데 별다른 내용 없이 에디터 창을 닫아도 된다. 그후 사용자 인증에 관한 질의가 있는데 'yes' or 'no' 로 답변하는 부분이 있다.
yes를 아무리 눌러도 계속 질문하는 경우엔 한글로 '예' 라고 입력하자.
$ killall svnser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