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의 시스템 관리 명령어
$ cat /proc/meminfo | grep MemTotal MemTotal: 2097152 kB
$ free -h
다음의 명령어로도 가능하다.
$ cat /proc/meminfo | grep Mem
다음 명령어는 가상 코어 포함 개수를 표시한다.
$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다음 명령어는 실제 코어 개수를 표시한다.
$ grep ^processor /proc/cpuinfo | wc -l
tail 명령을 사용한다.
$ tail -f /var/log/syslog
실시간으로 시스템 로그를 모니터링 한다. -f 옵션은 파일 내용이 바뀔 때마다 파일을 다시 읽어들이므로 실시간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해준다.
리눅스 서버에서 현재 동작하고 있는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한다. 기본으로적으로 프로세스 고유 ID, 구동 터미널, 구동 시간, 명령어를 알 수 있다.
a | 모든 프로세스 정보를 출력 |
---|---|
u | 각 프로세스 유저명, 시작 시간 출력 |
x |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스도 출력 |
$ ps $ ps aux
동적으로 ps결과를 볼 수 있다.
프로세스에 특정 시그날을 보내는 명령어이다. 그러나 보통은 구동 중인 프로세스를 정지시키기 위해 많이 쓰인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 kill -9 <PID> # <PID> 프로세스를 죽인다. $ kill -1 <PID> # <PID> 프로세스를 재시작한다.
프로세스의 PID는 ps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kill 명령어와 비슷한 것으로 killall 명령어가 있다. 이것은 지정한 프로세스명을 가진 프로세스 모두에게 시그날을 보낸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옵션
i | 프로세스 종료전 물어보기 |
---|---|
v | 진행현황 확인 |
w | 지정한 프로세스들이 모두 종료될때까지 종료시도를 함 |
<signum> | 특정시그널 지정하여 보내기 |
i 옵션을 쓰는 경우 PID 값을 물어보기 때문에 미리 PID값을 확인해야 한다.
<signum> 옵션은 kill 명령어와 쓰는 방식이 같다. 예를 들어 다음 명령은 모든 node 프로세스를 죽인다.
$ killall -9 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