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렌트 파일을 받기 위한 프로그램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 기본으로 제공되나 데몬으로 항상 실행되게 하려면 다음과 같이 트랜스미션 데몬을 설치해야 한다.
$ apt-get install transmission-daemon
설정 하기 전 트랜스미션 데몬 서비스를 중지해야 한다.
$ sudo service transmission-daemon stop
$ vim /var/lib/transmission-daemon/info/setting.json
우분투 16.04 부터는 아래 경로로 바뀐 듯 하다.
$ vim /etc/transmission-daemon/setting.json
/var/lib/transmission-daemon/.config
폴더 아래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심볼릭 링크)
setting.json 파일 내용은 다음과 같다.
"download-dir": "/home/allsunday/Downloads/Torrent/download" // transmission-daemon 을 실행하는 debian-transmission 사용자가 파일을 읽고 쓸 수 있는 디렉토리여야 한다. "ratio-limit": 2, // 업로드 / 다운로드 비율 최대값 "ratio-limit-enabled": true, // 이걸 false로 하면 계속 시딩, 아니면 ratio-limit 까지만 시딩 "rpc-enabled": true "rpc-authentication-required": true "rpc-username": 유저명 "rpc-password": 패스워드 // rpc-username 은 웹관리자 화면에서 사용할 id // rpc-password 는 웹관리자 화면에서 사용할 id의 password, 평문으로 저장하면 자동으로 암호화 된다. "rpc-whitelist-enabled": false "watch-dir": "/home/allsunday/Downloads/Torrent/download" "watch-dir-enabled": true // watch-dir 로 설정해 놓은 디렉토리에 토렌트파일을 복사해 놓으면 자동으로 다운로드가 진행 된다.
watch-dir을 삼바로 공유해 놓으면 윈도우 환경에서 torrent 파일을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복사하는 방식으로 다운로드를 시작할 수 있다.
우분투 16.04 부터는 기본 설정으로는 위 경로의 설정 파일을 읽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1) 그래서 아래와 같이 /lib/systemd/system/transmission-daemon.service
파일의 ExecStart
부분을 수정해주어야 한다.
ExecStart=/usr/bin/transmission-daemon -f --log-error -g /etc/transmission-daemon
끝에 -g /etc/transmission-daemon
를 추가해주었다.
$ sudo service transmission-daemon st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