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보드는 컨텐츠 작성, 발행 및 관리를 위한 CMS(Content Management System)이다. 예전부터 제로보드라 불러왔지만 5.0버전 이후 개발이 중단되고 현재는 완전히 새로 개발된 XE(XpressEngine)만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XE와 제로보드는 엄격히 구분지어 불리어져야 한다. 제로보드 XE라는 명칭도 틀린 것이다. 그치만 제로보드라는 이름이 더 친숙하다. 잇힝~
웹서버(Apache, NginX 등), PHP, DBMS가 설치되어 있다면 설치는 어렵지 않다. 데이터베이스는 MySQL, MS-SQL, 큐브리드 등을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Apache, PHP, MySQL 조합을 사용한다. 먼저 DBMS에 제로보드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그리고 리눅스라면 /var/www 아래에 제로보드 압축 파일을 푼 후 localhost/(압축 푼 폴더이름) 등으로 접속하면 설치화면이 나타난다. 설치화면에서 지시하는 사항을 따라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소셜 서비스와 제로보드를 연동하기 위한 모듈이다. 소셜 로그인, 소셜 댓글 등의 서비스를 지원한다.
curl 라이브러리는 sudo apt-get install php5-curl 명령으로 설치할 수 있다. JSON Extension은 apt-get install php5-dev 를 통해 developer tools를 설치하면 같이 설치된다.
원래 socialxe.net에서 SocialXE Server 서비스를 하였으나 현재는 서비스 중단으로 SocialXE Server를 직접 설치해야 한다. 자세한 설치 및 설정 방법은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한다. 설정은 보통 SNS에서 개발자 등록한 후 액세스 토큰 또는 API 키를 받아오면 된다. 그 후 Client를 추가하고 Client Token을 생성하면 된다.
SketchBook5 스킨과 SketchBook5 SocialXE 스킨의 최신 버전 다운로드 후 SketchBook5 스킨을 적용한 게시판 설정 - 스킨 관리에서 socialxe로 검색하면 socialxe 댓글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SocialXE 서버에 API 요청이 실패했다는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면 /classes/file/FileHandler.class.php 파일을 열어 $oRequest->setMethod($method); 라인 윗줄에 다음 코드를 추가한다. 1)
$oRequest->addHeader('Accept-Encoding', '');
소셜 댓글 서비스이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SNS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댓글을 남길 수 있게 해준다. 일반 사용자는 5개 SNS (그중에서 미투데이는 서비스 종료, 알만한 건 페이스북 뿐) 로그인 기능을 제공한다. 라이브리 설치 메뉴를 통해 신규 코드를 발급받거나 이전에 받은 코드의 설정을 할 수 있다. 사이트 주소는 http://www.livere.com/
XE 폴더/files/cache 폴더를 지우면(또는 이름을 바꿔놓으면) 정상적으로 로그인 된다. 그 후 메뉴가 안보일 수 있는데 admin 페이지로 들어가 캐시 재생성, 세션 정리 후 다시 들어가면 메뉴가 정상적으로 출력된다.
다음 링크를 참고한다.
- http://www.xpressengine.com/tip/22656180
- http://tuwlab.com/13234
요약하면 socialxe 모듈의 conf/module.xml 파일의 request 이름 때문에 발생한 에러이다. procSocial~~ 형식으로 이름을 수정해야 한다. 이 형식이 아닌 부분을 수정한다. 또한 xe 폴더에서 다음 명령으로 해당 권한의 이름이 들어간 파일을 찾아 모두 수정한다.
$ grep -ir 'procCompileInput'